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폐렴 백신 예방접종] 접종 기간과 유의사항, 꼭 알아야 할 정보!

by l'mJenny 2024. 9. 24.
반응형

안녕하세요 제니스 플레이스 입니다 :) 

비가 내리고 나서 완연한 가을이 찾아왔습니다. 아침저녁으로 쌀쌀한 날씨에 일교차가 심해 감기에 걸리기 쉽상인 날씨죠. 환절기 건강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 이번시간에는 폐렴구균 백신 접종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폐렴은 폐렴구균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 질환으로, 특히 노인, 만성질환자, 면역력이 약한 사람들에게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폐렴을 예방하기 위해 폐렴 백신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폐렴 백신은 폐렴뿐만 아니라 폐렴구균이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질환을 예방하는데, 이를 통해 건강을 유지하고 질병의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폐렴 백신의 종류와 접종 기간, 그리고 예방주사를 맞을 때 주의해야 할 사항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폐렴 백신의 종류
폐렴 백신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폐렴구균 단백접합 백신(PCV13 또는 PCV15, PCV20)과 폐렴구균 다당류 백신(PPSV23)입니다. 이 두 백신은 각각의 작용 방식과 예방 범위가 다르므로 대상자에 따라 적절한 백신을 선택해야 합니다.

PCV13/PCV15/PCV20 (폐렴구균 단백접합 백신)
PCV 백신은 주로 어린이와 65세 이상의 고령자, 그리고 면역 저하자에게 권장됩니다. 이 백신은 폐렴구균의 13가지, 15가지, 또는 20가지 혈청형에 대해 예방 효과를 제공하며, 폐렴뿐만 아니라 폐혈증, 뇌수막염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도 예방합니다. 소아의 경우 생후 2개월부터 일정에 따라 총 4회 접종이 권장됩니다.

PPSV23 (폐렴구균 다당류 백신)
PPSV23 백신은 주로 65세 이상의 성인이나 만성 질환을 가진 성인에게 권장됩니다. 이 백신은 폐렴구균의 23가지 혈청형에 대한 예방 효과를 제공하며, 주로 성인에서 중증 폐렴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한 번 접종하면 5년 이상 효과가 지속되지만, 고위험군의 경우 5년 후 추가 접종이 권장될 수 있습니다.

 


2. 폐렴 백신 접종 대상
폐렴 백신은 모든 사람이 맞아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일부 고위험군에게는 꼭 필요한 예방접종입니다. 아래는 주요 접종 대상입니다.

65세 이상의 성인: 면역력이 약해지는 고령자들은 폐렴구균에 감염될 위험이 높습니다. 이 때문에 65세 이상인 경우, PCV와 PPSV 백신을 모두 접종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단, 두 백신을 동시에 맞지는 않고 일정 기간을 두고 접종해야 합니다.

만성질환자: 당뇨, 심장병, 만성 폐질환, 만성 신장질환 등을 앓고 있는 사람들은 폐렴의 위험이 높기 때문에 백신 접종이 권장됩니다. 특히 이들은 면역체계가 약해져 있기 때문에 감염에 더 취약합니다.

면역 저하자: 면역 억제 치료를 받는 환자, HIV 감염자, 장기 이식 환자 등 면역력이 저하된 사람들은 폐렴구균에 감염될 가능성이 더 높기 때문에 반드시 백신을 맞아야 합니다. 백신을 맞으면 중증 폐렴 및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3. 폐렴 백신 접종 주기
폐렴 백신의 접종 주기는 백신의 종류와 대상에 따라 다릅니다.

PCV13/PCV15/PCV20 백신은 한 번 맞으면 오랫동안 예방 효과가 지속됩니다. 65세 이상 성인에게 한 번 접종하면 추가 접종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PPSV23 백신은 한 번 접종한 후 약 5년 후에 추가 접종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특히 면역 저하자나 고위험군은 추가 접종을 고려해야 합니다.

소아의 경우 PCV 백신을 생후 2개월, 4개월, 6개월에 각각 한 번씩 맞고, 이후 12-15개월에 마지막 추가 접종을 받는 것이 일반적인 예방접종 일정입니다.

4. 폐렴 백신 접종 시 유의사항
폐렴 백신을 맞을 때 몇 가지 주의할 사항이 있습니다. 첫째, 알레르기 반응이 있는 경우 반드시 사전에 의료진과 상의해야 합니다. 이전에 폐렴 백신을 맞고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이 있었거나, 백신의 특정 성분에 민감한 반응을 보였던 경험이 있다면 접종 전에 이를 알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둘째, 백신 접종 간격에 주의해야 합니다. PCV와 PPSV 백신을 모두 맞아야 하는 경우, 최소 1년의 간격을 두는 것이 좋습니다. 이 간격을 지키지 않으면 백신의 효과가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일정에 맞춰 접종해야 합니다.

셋째, 백신 접종 후 일반적으로 경미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주사 부위의 통증, 부기, 발적이 일반적이며, 약간의 발열이나 피로감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증상은 대개 며칠 내에 사라지며 심각한 부작용은 드물게 발생합니다. 만약 고열이 지속되거나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난다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합니다.



폐렴은 특히 고령자나 면역력이 약한 사람들에게 큰 위협이 될 수 있는 질환입니다. 폐렴 백신을 접종하면 이러한 위험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PCV와 PPSV 백신은 각각 다른 방식으로 작용하며, 대상자에 따라 적절한 백신을 선택하여 접종해야 합니다. 예방 접종 전에 반드시 의료진과 상담하여 자신의 건강 상태에 맞는 백신과 접종 일정을 계획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